top of page
Search

DPRK Reports Outcome of the Singapore Summit

Chairman Kim Jong Un and President Donald Trump Sign Joint Statement


Following the Summit meeting of Chairman Kim Jong Un, and President Donald Trump, the official news service of the Democratic People’s Republic of Korea, KCNA, reported that the two leaders “expressed expectation and belief that the two countries which have lived in the quagmire of hostility, distrust and hatred would pass the unhappy past over and dynamically advance toward an excellent and proud future beneficial to each other and another new era, the era of the DPRK-U.S. cooperation would open up.”  “There was a comprehensive and in-depth discussion over the issues of establishing new DPRK-U.S. relations and building a permanent and durable peace mechanism on the Korean peninsula at the talks,” the report also said.  What follows is the full KCNA report of June 13, 2018

Historic First DPRK-U.S. Summit Meeting and Talks Held

Pyongyang, June 13 (KCNA) — Kim Jong Un, chairman of the Workers’ Party of Korea, chairman of the State Affairs Commission of the Democratic People’s Republic of Korea and supreme commander of the Korean People’s Army, held the summit meeting and talks with Donald J. Trump, president of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t Sentosa Island of Singapore on June 12, 2018 for the first time in the histories of the two countries.

Thanks to the fixed decision and will of the top leaders of the two countries to put an end to the extreme hostile relations between the DPRK and the U.S., which lingered for the longest period on the earth on terms of acute confrontation and to open up a new future for the sake of the interests of the peoples of the two countries and global peace and security, the first DPRK-U.S. summit is to be held.

Singapore, the country of the epoch-making meeting much awaited by the whole world, was awash with thousands of domestic and foreign journalists and a large crowd of masses to see this day’s moment which will remain long in history.

Kim Jong Un left his lodging quarters at 8:10 a.m. local time and arrived at Capella Hotel on Sentosa Island of Singapore, the venue of the talks.

Seen standing at the lobby of the venue of the talks where the top leaders of the DPRK and the U.S. will have the first meeting were the flags of the DPRK and the U.S.

At 9:00 a.m. local time the respected Supreme Leader of the party, state and army of the DPRK Kim Jong Un met and shook hands with U.S. President Donald J. Trump for the first time.

The top leaders of the two countries came to take their first step toward reconciliation for the first time in the 70 odd years-long history of standoff and antagonism since the division of the Korean Peninsula, and to stand face to face at the venue of dialogue.

Chairman Kim Jong Un had a souvenir photo taken with President Trump. The two top leaders went to the conference room, having a familiar talk.

Tete-a-tete talks were held between the two top leaders.

Noting that it was not easy to get to where they were,

Kim Jong Un made the meaningful words there was a past that gripped their ankles and prejudice and wrong practice covered their eyes and ears, but they overcame all that to come to this place and stand at a new starting point.

The two top leaders had a candid exchange of views on the practical issues of weighty significance in putting an end to the decades-long hostile relations between the DPRK and the U.S. and making peace and stability settle on the Korean Peninsula.

Then followed extended talks.

Present there from the DPRK side were Kim Yong Chol and Ri Su Yong, vice-chairmen of the Central Committee of the WPK, and Foreign Minister Ri Yong Ho.

Present there from the U.S. side were Secretary of State Mike Pompeo, United States National Security Advisor John Bolton and White House Chief of Staff John Kelly.

There was a comprehensive and in-depth discussion over the issues of establishing new DPRK-U.S. relations and building a permanent and durable peace mechanism on the Korean peninsula at the talks.

Noting that he is pleased to sit face-to-face with President Trump and the U.S. side’s delegation, Chairman Kim Jong Unhighly praised the president’s will and enthusiasm to resolve matters in a realistic way through dialogue and negotiations, away from the hostility-woven past.

Expressing belief that the summit talks would lead to improvement of the DPRK-U.S. relations, President Trump appreciated that an atmosphere of peace and stability was created on the Korean Peninsula and in the region, although distressed with the extreme danger of armed clash only a few months ago, thanks to the proactive peace-loving measures taken by the respected Supreme Leader from the outset of this year.

Noting that many problems occurred due to deep-rooted distrust and hostility existing between the two countries,

Kim Jong Un said in order to achieve peace and stability of the Korean Peninsula and realize its denuclearization, the two countries should commit themselves to refraining from antagonizing each other out of mutual understanding, and take legal and institutional steps to guarantee it.

He also underlined the need for the DPRK and the U.S. to take practical measures actively to carry out the issues discussed at the talks and the joint statement at an early date.

Kim Jong Un made an immediate agreement on Trump’s proposal for recovering the remains of American soldiers and repatriating those already identified and gave an instruction to take a measure for settling it as early as possible.

Noting that the building of lasting and durable peace-keeping mechanism on the Korean Peninsula is of weighty significance in ensuring peace and security in the region and the rest of the world, he said that it is urgent to make bold decision on halting irritating and hostile military actions against each other.

Expressing his understanding of it, Trump expressed his intention to halt the U.S.-south Korea joint military exercises, which the DPRK side regards as provocation, over a period of good-will dialogue between the DPRK and the U.S., offer security guarantees to the DPRK and lift sanctions against it along with advance in improving the mutual relationship through dialogue and negotiation.

Kim Jong Un clarified the stand that if the U.S. side takes genuine measures for building trust in order to improve the DPRK-U.S. relationship, the DPRK, too, can continue to take additional good-will measures of next stage commensurate with them.

Kim Jong Un and Trump had the shared recognition to the effect that it is important to abide by the principle of step-by-step and simultaneous action in achieving peace, stability and denuclearization of the Korean Peninsula.

That day, a luncheon was given in honor of the top leaders of the DPRK and the U.S. and participants in the talks.

Exchanged at the luncheon were views on further animating communication, contact and visit between both sides to cement the achievements made at the DPRK-U.S. talks and remarkably develop the DPRK-U.S. relations.

After the luncheon, the top leaders had a walk, deepening friendly feelings.

Kim Jong Un, chairman of the State Affairs Commission of the DPRK, and Donald J. Trump, president of the USA, signed a joint statement of the historic Singapore summit talks.

Kim Jong Un said that today both sides came to sign the historic joint statement heralding a new start, passing the past over, stating that the world would witness an important change.

Kim Jong Un had a meaningful photo session with Trump to commemorate the signing of the historic document and bid him farewell.

Chairman Kim Jong Un and President Trump expressed expectation and belief that the two countries which have lived in the quagmire of hostility, distrust and hatred would pass the unhappy past over and dynamically advance toward an excellent and proud future beneficial to each other and another new era, the era of the DPRK-U.S. cooperation would open up.

Kim Jong Un invited Trump to visit Pyongyang at a convenient time and Trump invited Kim Jong Un to visit the U.S.

The two top leaders gladly accepted each other’s invitation, convinced that it would serve as another important occasion for improved DPRK-U.S. relations.

The DPRK-U.S. summit talks held in Singapore with success amid enthusiastic support and welcome of the whole world come to be a great event of weighty significance in further promoting the historic trend toward reconciliation and peace, stability and prosperity being created in the Korean Peninsula and the region and in making a radical switchover in the most hostile DPRK-U.S. relations, as required by the developing times. -0-

(2018.06.13)

조미관계의 새 력사를 개척한 세기적만남 – 력사상 첫 조미수뇌상봉과 회담 진행

우리 당과 국가, 군대의 최고령도자 김정은동지께서 미합중국 대통령과 공동성명 채택

(평양 6월 13일발 조선중앙통신)

조선로동당 위원장이시며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국무위원회 위원장이시며 조선인민군 최고사령관이신 우리 당과 국가, 군대의 최고령도자 김정은동지께서 미합중국 대통령 도날드 제이.트럼프와 2018년 6월 12일 싱가포르의 쎈토사섬에서 조미 두 나라 력사상 처음으로 되는 수뇌상봉과 회담을 진행하시였다.

지구상에서 가장 장구한 세월 첨예하게 대립되고 지속되여온 조미사이의 극단적인 적대관계를 끝장내고 두 나라 인민의 리익과 세계의 평화와 안전을 위한 새로운 미래를 열어나가려는 수뇌분들의 확고한 결단과 의지에 의하여 금세기 최초의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과 미합중국 수뇌회담이 진행되게 된다.

전세계가 하루하루 기다려온 세기적인 만남이 이루어지는 싱가포르의 곳곳에는 수천명의 내외신기자들과 수많은 군중들이 운집되여 력사에 길이 남을 이날의 순간순간을 주시하고있었다.

경애하는 최고령도자동지께서는 현지시간으로 오전 8시 10분 숙소를 떠나시여 회담장인 싱가포르 쎈토사섬의 카펠라호텔에 도착하시였다.

조미수뇌분들께서 첫 상봉을 하시게 될 회담장 로비에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국기와 미합중국 국기가 나란히 걸려있었다.

현지시간으로 오전 9시, 우리 당과 국가, 군대의 최고령도자 김정은동지께서 미합중국 대통령 도날드 제이.트럼프와 상봉하시고 첫 악수를 나누시였다.

조선반도가 둘로 갈라져 대립과 반목의 력사가 흘러온 70여년만에 처음으로 조미수뇌분들이 화해를 향한 첫발을 내디디고 대화의 장에 마주서게 되였다.

경애하는 최고령도자동지께서는 트럼프대통령과 기념촬영을 하신 다음 담소를 나누시며 회담실로 향하시였다.

경애하는 최고령도자동지와 트럼프대통령사이의 단독회담이 진행되였다.

경애하는 최고령도자동지께서는 오늘 여기까지 와닿는 과정이 결코 헐치는 않았다고 하시면서 과거의 력사가 우리의 발목을 붙잡고 그릇된 편견과 관행들이 우리의 눈과 귀를 가리우기도 했지만 그 모든것을 과감하게 짓밟고 이렇게 이 자리에까지 왔으며 새로운 출발점에 서게 되였다는 뜻깊은 말씀을 하시였다.

조미수뇌분들께서는 수십년간 지속되여온 적대적인 조미관계에 종지부를 찍고 조선반도에 평화와 안정이 깃들도록 하는데서 중요한 의의를 가지는 실천적문제들에 대하여 솔직한 의견을 나누시였다.

조미수뇌분들의 단독회담에 이어 확대회담이 진행되였다.

확대회담에는 우리측에서 조선로동당 중앙위원회 부위원장들인 김영철동지, 리수용동지, 외무상 리용호동지가 참가하였다.

상대측에서는 미합중국 국무장관 마이크 폼페오, 미합중국 대통령 국가안전담당보좌관 죤 볼튼, 백악관 비서실장 죤 켈리가 참가하였다.

회담에서는 새로운 조미관계수립과 조선반도에서의 항구적이며 공고한 평화체제구축에 관한 문제들에 대한 포괄적이며 심도있는 론의가 진행되였다.

경애하는 최고령도자동지께서는 트럼프대통령을 비롯한 미국측대표단과 이렇게 자리를 같이한것을 기쁘게 생각한다고 하시면서 적대적과거를 불문하고 대화와 협상을 통해 현실적인 방법으로 문제를 해결하려는 대통령의 의지와 열망을 높이 평가하시였다.

미합중국 트럼프대통령은 이번 수뇌회담이 조미관계개선에로 이어지리라는 확신을 표명하면서 경애하는 최고령도자동지께서 올해초부터 취하신 주동적이며 평화애호적인 조치에 의하여 불과 몇개월전까지만 하여도 군사적충돌의 위험이 극도에 달하였던 조선반도와 지역에 평화와 안정의 분위기가 도래하게 되였다고 평가하였다.

경애하는 최고령도자동지께서는 두 나라사이에 존재하고있는 뿌리깊은 불신과 적대감으로부터 많은 문제가 산생되였다고 하시면서 조선반도의 평화와 안정을 이룩하고 비핵화를 실현하기 위하여서는 량국이 서로에 대한 리해심을 가지고 적대시하지 않는다는것을 약속하며 이를 담보하는 법적, 제도적조치를 취해나가야 한다고 말씀하시였다.

경애하는 최고령도자동지께서는 조미쌍방이 빠른 시일안에 이번 회담에서 토의된 문제들과 공동성명을 리행해나가기 위한 실천적조치들을 적극 취해나갈데 대하여 말씀하시였다.

경애하는 최고령도자동지께서는 트럼프대통령이 제기한 미군유골발굴 및 송환문제를 즉석에서 수락하시고 이를 조속히 해결하기 위한 대책을 세울데 대하여 지시하시였다.

경애하는 최고령도자동지께서는 조선반도에서 항구적이며 공고한 평화체제를 수립하는것이 지역과 세계평화와 안전보장에 중대한 의의를 가진다고 하시면서 당면해서 상대방을 자극하고 적대시하는 군사행동들을 중지하는 용단부터 내려야 한다고 말씀하시였다.

미합중국 대통령은 이에 리해를 표시하면서 조미사이에 선의의 대화가 진행되는 동안 조선측이 도발로 간주하는 미국-남조선합동군사연습을 중지하며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에 대한 안전담보를 제공하고 대화와 협상을 통한 관계개선이 진척되는데 따라 대조선제재를 해제할수 있다는 의향을 표명하였다.

경애하는 최고령도자동지께서는 미국측이 조미관계개선을 위한 진정한 신뢰구축조치를 취해나간다면 우리도 그에 상응하게 계속 다음단계의 추가적인 선의의 조치들을 취해나갈수 있다는 립장을 밝히시였다.

조미수뇌분들께서는 조선반도의 평화와 안정,조선반도의 비핵화를 이룩해나가는 과정에서 단계별, 동시행동원칙을 준수하는것이 중요하다는데 대하여 인식을 같이하시였다.

이날 조미수뇌분들과 쌍방회담성원들이 참가하는 오찬이 있었다.

오찬에서는 조미회담의 성과를 공고히 하고 조미관계를 획기적으로 발전시켜나가기 위하여 쌍방사이에 의사소통과 접촉래왕을 보다 활성화해나갈데 대한 의견들이 교환되였다.

조미수뇌분들께서는 오찬이 끝난 후 함께 산책하시며 친교를 두터이하시였다.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국무위원회 위원장 김정은동지께서와 미합중국 도날드 제이.트럼프대통령은 력사적인 싱가포르수뇌회담 공동성명에 서명하시였다.

경애하는 최고령도자동지께서는 오늘 과거를 덮고 새로운 출발을 알리는 력사적인 공동성명에 서명하게 된다고 하시면서 세계는 중대한 변화를 목격하게 될것이라고 말씀하시였다.

경애하는 최고령도자동지께서는 트럼프대통령과 력사적인 문건을 채택한 기념으로 뜻깊은 사진을 찍으시고 작별인사를 나누시였다.

경애하는 최고령도자동지께서와 트럼프대통령은 적대와 불신, 증오속에 살아온 두 나라가 불행한 과거를 덮어두고 서로에게 리익이 되는 훌륭하고 자랑스러운 미래를 향하여 힘차게 나아가며 또 하나의 새로운 시대,조미협력의 시대가 펼쳐지게 될것이라는 기대와 확신을 피력하시였다.

경애하는 최고령도자동지께서는 트럼프대통령이 편리한 시기에 평양을 방문하도록 초청하시였으며 트럼프대통령도 김정은국무위원장께서 미국을 방문하여주실것을 초청하였다.

조미수뇌분들께서는 이러한 초청이 조미관계개선을 위한 또 하나의 중요한 계기가 될것이라고 확신하면서 이를 쾌히 수락하시였다.

전세계의 열광적인 지지와 환영속에 성과적으로 진행된 싱가포르조미수뇌회담은 조선반도와 지역에 도래하고있는 화해와 평화, 안정과 번영을 위한 력사적흐름을 보다 추동하고 가장 적대적이였던 조미 두 나라사이의 관계를 시대발전의 요구에 맞게 획기적으로 전환시켜나가는데서 중대한 의의를 가지는 거대한 사변으로 된다.(끝)

(2018.06.13)

Comments


bottom of page